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2019 P2P 투자자 현황 조사 결과 발표(3부)


<개요>


▶조사기관: P2P 투자자모임 네이카페 피자모(http://cafe.naver.com/pijamo)
▶조사목적: P2P 투자자들의 투자현황의 공유 및 업계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조사대상: 피자모 회원 447명 참여
▶조사기간: 2019년 12월 24일 ~ 2020년 1월 31일(총 39일)
▶조사항목: 투자자 성별, 지역, 투자금액 등 총 27문항 등
▶한계점

 - 본 설문조사는 피자모 회원 일부에 대해서만 응답을 받은 결과이며, 신뢰도, 표본오차 등 통계학적 특성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 설문에 참여한 피자모카페 회원들의 현황공유가 목적이므로 이 조사결과는 활용주체가 자체적으로 해석 또는 활용해야 하며, 

   피자모카페는 그 해석 및 활용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 아울러 덧붙이는 해설의 경우 본 설문을 시행한 피자모카페 회원(인니영감)의 주관적인 해석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파란색으로 표기)
▶기타
- 표기안내: 수치별 구간 표기(~)는 ‘(초과)~(이하)’ 의 의미입니다. 

- 합계가 100%가 아닌 경우는 네이버 통계 시스템상 반올림의 문제이므로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제공: 피자모 기업회원에 한해 일부 제공 가능


<2019년 설문결과(1부-4부)>

*1부 결과(4문항)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23 https://cafe.naver.com/pijamo/178129

         2부 결과(8문항)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25 https://cafe.naver.com/pijamo/178571

         3부 결과(8문항)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30 https://cafe.naver.com/pijamo/179355

         4부 결과(8문항)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37 https://cafe.naver.com/pijamo/180096




[투자금액 등에 대한 조사]


11. 상품당 평균 투자 금액

1년전에 비해 상품당 평균 투자금액 역시 변화가 있었습니다.


50만원 이하(22%→32%), 100만원 이하(24%→24%), 300만원 이하(21%→16%), 

500만원 이하(27%→23%), 1천만원 이하(3%→2%), 1천만원 초과(2%→3%)의 순이었습니다.



토스, 카카오페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한 소액투자가 증가한 탓인지

50만원 이하의 소액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개인투자 한도금액인 500만원 이하의 투자가 9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2. P2P투자를 위한 대출 여부 및 대출금액

P2P투자를 위해 대출을 받은 비율은 18%입니다.

82%의 투자자는 대출없이 자기 자금만으로 투자를 해오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은 사람 중 1천만원 이하(29%), 3천만원 이하(26%), 5천만원 이하(20%), 1억원 이하(15%)로

1억 이하의 대출을 받은 사람이 대출자 중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0%는 1억 이상 대출을 받았으며, 5억원이 넘게 대출을 받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1년전 조사와 동일하며,

P2P투자에서도 대출을 활용한 레버리지 투자를 하는 사람이 5명 중 1명은 됩니다.

이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같은 논리로 리스크 또한 극대화되니

안전자산이라 부르기 어려운 P2P투자에서의 레버리지 투자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아래 연체 경험과 같이 연계해보면, 

대출받은 18% 중 단지 10%만이 연체를 겪지 않았습니다. 즉, 대출자의 90%는 연체/부실을 겪고 있습니다.

(대출/비대출을 합친 전체 중에서는 20%가 연체를 겪지 않음)

대출을 고려하신다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3-1. 연체 및 부실 경험 여부

연체 및 부실을 모두 겪지 않은 비율이 29%이며,

연체는 69%, 부실은 47%가 경험하였습니다.



지난 글(2부) 7번 항목에서 언급하였듯이

연체/부실을 겪었던 투자자 중 상당수가 P2P 투자를 중단하여 설문조사 또한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연체 및 부실을 겪은 비율이 1년 전 80%에서 70%로 감소한 것처럼 보입니다.


이 항목 역시 많은 분들이 궁금해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나만 잘못 투자해서(또는 사기꾼한테 당해서) 이렇게 힘들게 연체/부실을 겪고 있나...하셨을텐데

많은 투자자는 연체 또는 부실을 경험했거나 현재도 경험하고 있습니다.


비록 좋은 일은 아니지만,

연체나 부실 겪으시는 분들, 혼자가 아닙니다.

같이 힘냈으면 좋겠습니다.




13-2. 연체금액

500만원 이하(37%→45%), 500~5000만원(35%→20%), 5000만원 이상(8%→2%), 

연체경험 없음(20%→32%)이였으며, 1억 넘는 연체도 2%가 있었습니다.


연체경험이 없는 분들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이중 P2P 경험 6개월 이하의 경우 59%, 1년 이하의 경우 81%로

대부분 P2P 시장에 신규 진입한 투자자들에 해당합니다.


즉, 연체가 없는 분들 중 P2P를 1년 이상 투자한 경우는 약 20%에 불과합니다.

참고로 2년 이상 투자한 경우는 6%밖에 되지 않습니다.

(2년 이상 : 2018년초 이전 투자자)





13-3. 부실금액


500만원 이하(30%), 500~1000만원(6%), 1000~5000만원(8%), 5000만원~1억(1%), 1억 초과(2%)이며,

부실경험 없음(54%) 입니다. 



이 부실금액 조사 역시 위 연체금액과 마찬가지로

2019년 신규진입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부실이 없는 투자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그리고 앞으로 금융위에서 정의를 새롭게 내려주기 전까지는 

계속 부실에 대한 정의/개념 정립이 매우 혼란스럽겠지만,

개개인별로 부실을 정의하는 것이 매우 다릅니다.


1년 넘으면 부실이다? 

1개월만 넘어도 상품 내용상 원금회수 가능성이 매우 낮을 수도 있고,

1년, 2년이 넘어도 상환가능성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같은 상품에서 동일 연체가 발생해도 

투자자별로 판단하는 기준에 따라 부실 여부가 결정되기도 할 것입니다.




14. 부실에 대한 마음 준비

0%(14%), ~5%(41%), ~10%(32%), ~15%(3%), ~20%(7%), 20% 초과(3%)로 나타났습니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부실은 0%가 되면 좋겠지만,

P2P 온라인 대부업인 이상 부실채권 없이 운영되기란 참 힘듭니다. 


73%의 인원이 10% 이하의 부실을 감당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부실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10% 이상의 부실은 P2P투자의 실질 수익(누적수익률 0~+10% 비중 : 46%)을 고려해볼 때

이익분을 거의 다 토해내는 수준이라 향후 지속 투자 여부나 투자 방식/성향등을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15. 자산 중 P2P 투자 비중

자산중 P2P 투자 비중 결과는

10% 이하(33%), ~20%(19%), ~30%(15%)가 각 1~3위였고

~40%(7%), ~50%(11%), ~70%(7%), ~90%(4%), 90% 초과(5%)였습니다. 



high risk 이자 공격적 성향의 투자인 P2P에 투자하면서 

10명 중 7명은 30%이하의 자금을 투자한다는 것은 나름 고무적인 결과라 생각합니다. 

리스크가 크면 클수록, P2P에 대한 좋지 않은 경험이 늘어날수록 P2P 시장의 발전은 어렵다 생각하는데, 

이 결과와 같은 자금운용으로 개인들의 리스크 회피 및 안정적 자금운용을 엿볼 수 있다 생각하며,

올인이 아닌 재테크의 여러 종류 중 하나로서의 P2P시장이 커나가길 기대합니다. 








- 3부 종료-









* 피자모 링크 : https://cafe.naver.com/pijamo/179355


P2P 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읽으면 좋은 글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