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니영감입니다.
아래의 미드레이트의 공지처럼 수집 데이터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리한 연체금액 순위도 전체적인 맥락을 참고하시는데 사용하시고
정확한 수치는 각 사 홈페이지 또는 직접 문의하시는게 더 정확하리라 생각합니다.
* 미드레이트의 공지(자료 출처)
- 정보 수집은 오전 4시 30분 기준으로 매일 실행되며, 플랫폼 상태에 따라 수집되지 않거나 잘못된 값으로 수집될 수 있습니다.
- 2020년 6월 23일 기준 수집 대상 업체는 146개사입니다. 업체 추가 요청은 1:1문의로 부탁드립니다.
2020년 8월 5일 기준 수집 업체는 168개사입니다. (미운영업체 제외; 오리/후담 등 포함)
* 사용설명서 *
1. 신연체율
o 신연체율 = 연체율 + 부실율
o 가이드라인상 연체율만 표시하게 되어 있으나, 기존에 사용하던 부실율을 아직도 사용하는 업체들이 많아
업체별로 두 지표를 제 각각 사용하다보니(연체율만 / 부실율만 / 연체율, 부실율 모두)
각 업체별로 사용하는 지표를 개별 확인 후 실제 연체율을 정리한 지표입니다.
2. 연체금액
o 연체금액 = 대출잔액 * 신연체율
o 업체별로 계산 수식이 제 각각이어서 (대출잔액 * 연체율 / 누적대출액 * 연체율 )
각 업체별 사용하는 방식을 개별 확인 후 실제 연체금액을 산출한 지표입니다.
Q. 표 하단의 연체금액이 0인 업체들은 무엇인가요?
A. 현재 연체금액이 0원이라는 의미입니다.
동일한 연체금액의 업체들은 누적대출액 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단, 연체금액이 0원, 연체율 0%가 업체의 안정성, 도덕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
0. 전 업체의 총 연체금액 5,534억 ← 전주 대비 전체 연체금액 +22억원
(테라 -18억, 어니스트 +33억, 위펀딩 +2억, 블루문 +1억, 천사 +1억,
미드레이트 +2억, 유니어스 +3억, 서울 -3억 등)
1. 1위~10위 : 총 연체금액 4,032억 ← 업체별 연체금액 +15억
1위. 팝펀딩 1,251억
2위. 테라펀딩 625억 ← 연체금액 -18억
3위. 루프펀딩 625억
4위. 넥펀 251억
5위. 비욘드펀드 241억
6위. 빌리 229억
7위. 어니스트펀드 224억 ← 연체금액 +33억
8위. 펀딩플랫폼 211억
9위. 투게더펀딩 199억
10위. 피플펀드 175억
2. 11위~20위 : 총 연체금액 862억 ← 업체별 연체금액 +2억
11위. 더좋은펀드 159억
12위. 오리펀드 120억
13위. 인컴펀딩 88억
14위. 엔젤펀딩 77억
15위. 모아펀딩 76억
16위. 펀딩하이 75억
17위. 이디움펀딩 74억
18위. 헤라펀딩 70억
19위. 위펀딩 62억 ← 연체금액 +2억
20위. 크레딧펀딩 60억
3. 21위~70위 : 총 연체금액 700억 ← 업체별 연체금액 +4억
(블루문 +1억, 천사 +1억, 미드레이트 +2억, 유니어스 +3억, 서울 -3억 등)
+ Comment
[1]
미드레이트 보라 기준,
자료 미수집 업체+연체율 100% 업체+미운영업체(해당 라인 붉은색 표시)
연체율이 100%라는 뜻은 현재 더 이상의 신규상품이 없이 기존 상품의 추심활동만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겠으나, 확실한 건 P2P업체의 기본 운영 활동인 신규상품 출시가 없다는 것입니다.
투자자분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관련 글 : 연체율에 대하여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83)
[2]
연체율 자료 공개 수준에 따라 주의가 필요한 업체들이 있습니다.
투자시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134) ← '20년 7월 29일 업데이트
[3]
펀다의 경우 연체율 표시 방법이 변경되면서
신용 채권 대출잔액, 동산 채권 대출잔액을 알지 못하면 전체 연체금액을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본 자료에서 사용된 수치는 7/1일 기준이니 참고 바랍니다.
('연체율 자료 공개 수준에 따라 주의가 필요한 업체들'에 추가됨)
(8/6)
- 연체율 자료는 아직 6월말 기준입니다.
(7/1)
p.s. 위 내용은 펀다측에서 타 업체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표시하기 전까지 유지할 예정입니다.
[4]
피플펀드의 자료는 아직 6월말 기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8퍼센트의 자료는 아직 6월말 기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어니스트펀드의 연체율 등 주요지표는 8월 1일 기준이나,
공시자료는 아직 5월말 기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d11l490t345f7g.cloudfront.net/company/Honestfund_Info.pdf)
어니스트펀드의 연체금액이 전월 대비 33억 증가하였습니다만,
세부 내용은 파악할 수 없었습니다.
(주요지표 공지가 가장 간결한(?) 업체 중 하나이며, 연체내용 공지는 없습니다)
테라펀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체상품들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흥미로운 것은 테라펀딩의 경우 부동산PF의 연체율이 높고(24%) 부동산담보가 0.1%로 낮은데,
어니스트펀드는 부동산PF는 0.43%, 부동산담보의 연체율이 약 36%입니다. (5월말 공시기준)
표를 보실 때 누적대출액순위에 비해 연체금액순위가 높은 업체들은
투자를 고려할 때 많은 조사를 하신 후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모두 연체/부실없는 투자하시길-
* 표가 잘 안 보이시는 분들은 블로그 첨부파일의 엑셀 파일을 사용해보세요~
P2P 업체별 연체금액_200805(인니영감)-upload2.xlsx
* 피자모 링크 : https://cafe.naver.com/pijamo/197416
* P2P 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읽으면 좋은 글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27
'연체금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20.08.19) (0) | 2020.08.20 |
---|---|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20.08.12)-블루문 반영 (0) | 2020.08.12 |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20.07.29) (0) | 2020.07.29 |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20.07.22) (0) | 2020.07.23 |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20.07.15)-넥펀 반영 (0) | 202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