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니영감입니다.


아래의 연체 및 부실금액 순위는 전체적인 맥락을 참고하시는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업체는 

"온투법 등록을 위해 회계감사보고서를 제출한 91개+신생 4개(감사보고서 제출 비대상)" 입니다.


(P2P투자를 생각하셨다면)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업체는 절대 투자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온투법 등록을 하지 않을, 비인가업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투자를 거론할 대상이 아니기에 아래 표에서 삭제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사용설명서 * 

1. 연체금액 = 대출잔액 * 연체율 

2. 부실금액 = 누적대출금액 * 부실율 

                   (각 업체별로 공시한 '부실채권매각에 따른 손실금액'에 근거)

3. 신연체율 = (연체금액 + 부실금액) / (대출잔액 + 부실금액)

* 분자의 부실금액 의미 : 매각처리된 부실채권 중 상환되지 않은 금액

* 분모의 부실금액 의미 : 부실채권 원금 - 부실채권 매각대금(투자자에 상환된 금액)


Q. 색깔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연체율/신연체율의 빨간색 : 연체율이 15% 이상인 업체

    업체명~홈페이지 주소의 회색 : '20년에 신규 상품 모집이 없었던 업체

    업체명의 빨간색 : 고 위험의 주의업체

    

================================================================


[1] 연체금액 순


1위 - 테라펀딩, 599억 (신연체율 : 31.7%)

2위 - 시소펀딩, 200억 (신연체율 : 41.7%)

3위 - 투게더펀딩, 199억 (신연체율 : 8.8%)

4위 - 어니스트펀드, 193 (신연체율 : 12.1%)

5위 - 코리아펀딩, 131억 (신연체율 : 29.3%)


시소펀딩이 다시 32억의 연체금액을 추가하여, 2위로 올라왔습니다.


특이사항으로 펀다의 연체금액이 크게 변경되었습니다.

주요 지표에 오류가 있었고, 업체 문의를 통해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습니다.



[2] 부실금액 순

1위 - 8퍼센트, 137억 (연체금액 : 36억; 신연체율 24.8%)

2위 - 테라펀딩, 110억 (연체금액 : 599억; 신연체율 31.7%)

3위 - 렌딧, 103억 (연체금액 : 13억; 신연체율 32.9%)

4위 - 피플펀드, 74억 (연체금액 : 84억; 신연체율 5.57%)

5위 - 어니스트펀드, 57억 (연체금액 : 193억; 신연체율 12.12%)


전주 대비 부실금액은 어니스트펀드가 2억원 추가되었습니다.


연체금액보다 부실금액이 더 큰 경우는 아래 3개 업체가 있습니다.

8퍼센트 : 연체 35.7억, 부실 137.0억

렌딧 : 연체 12.6억, 부실 103.5억

캠퍼스펀드 : 연체 1.7억, 부실 2.1억



[3] 신연체율 순

신연체율 15%가 넘는 업체들이 상위에 포진되어 있으며,

그 이하 그룹에서는 어니스트펀드와 피플펀드가 높은 부실금액으로 눈에 띕니다.




[4] 연체 및 부실 0% 업체(누적대출액 순)

연체율이 0%라고 하여 안전하다는 말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P2P시장에서 발생한 수많은 사기/횡령 업체들 또한 

문제가 터지기 직전까지는 연체율 0%의 업체였습니다.




그럼, 모두 연체/부실없는 투자하시길-




※ 저와 대화하고 싶으신 분들께서는 아래로 오시면 됩니다.

  o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 http://pf.kakao.com/_lwtMT (1:1대화용)

  o P2P 관련 단체 채팅방(카카오톡) : https://open.kakao.com/o/g3JD2o0b (비밀번호 : oldman)




* 피자모 링크 : https://cafe.naver.com/pijamo/203967


P2P 투자를 시작시는 분들이 읽으면 좋은 글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