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니영감입니다.
'투게더펀딩이 생각하는 연체란' 글에서 카톡으로 주고 받은 내용을 보면
투게더펀딩은 월별 성과지표를 매월 1회 공지를 하고 있습니다.
*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85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7400
갑자기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이걸 알기 위해서는 투게더펀딩이 속한 <한국 P2P 금융협회>의 자율규제안을 살펴보아야합니다.
* 관련 링크 : http://p2plending.or.kr/REP/?id=27
내용이 길기 때문에 전문을 옮겨오기는 힘들고,
성과지표 공시와 관련된 부분만 살펴보겠습니다.
이 부분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저는 처음에 이 자율규제안을 보았을 때, 2번째 항목처럼
"그래, 지금처럼 매일 누적취급액, 대출잔액, 평균 금리, 연체율을 공시하면서
월별로 한번씩 추가로 정리해서 더 공지하는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먼저 투게더펀딩이 홈페이지에 공시하는 부분을 보겠습니다.
잘 보이시나요?
투게더펀딩 투자현황이라는 글자 아래,
마치 아래의 수치들이 실시간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딱 좋게
2019.03.16 07:00 기준
라고 적혀있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시간이 2019.03.16 07:54 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래, 지금처럼 매일 누적취급액, 대출잔액, 평균 금리, 연체율을 공시하면서
월별로 한번씩 추가로 정리해서 더 공지하는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일단위 실적 공시를 하던 업체들이
더 잘해보겠다고 자율규제안을 만들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식이 될 줄은 정말 상상도 못했습니다.
제가 너무 순진하고 무지한 탓이겠지요.
긴말은 않겠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투자하실 때 이와 같은 부분을 확인하고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이와 관련된 업체들에 대한 내용은 추가 조사할 예정입니다.
* 피자모 링크 : https://cafe.naver.com/pijamo/147421
'P2P 및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볍게 보는)연체상품과 식탐에 대하여 (0) | 2019.04.11 |
---|---|
한국 P2P 금융협회 소속 회원사들의 지표 공개시기 (0) | 2019.03.16 |
연체율에 대하여 (2) | 2019.03.15 |
P2P 업체 판단 지표에 대한 이해 (1) | 2019.03.11 |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핀테크 기업, 지정대리인 제도 시행(팝펀딩) (0) | 2019.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