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업체 이야기, 그 열한번째는 투게더펀딩.
P2P 누적대출 상위권 업체 중 연체율 0% 업체 중 1위의 업체.
개인적인 투자 성향과 맞지 않아 한번도 투자해본 적 없었고,
상품에 대해 제대로 확인해본 적도 없었으나,
컨소시엄 상품에서 발생한 연체와 관련되어
최근 아주 많은 관심이 생긴 업체
* 관련 글
1.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19.02.20) → 이후 '연체금액순위'에서 계속 언급.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71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4820
※ 컨소시엄 업체 : 투게더, 펀디드, 미드레이트, 소딧
2. 투게더펀딩이 생각하는 연체란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85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7400
3. 한국 P2P 금융협회의 공시 기준 - 투게더펀딩 공시 관련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86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7421
4. P2P업체 연체 금액 순위(2019.03.27) → 두번째 컨소시엄 상품의 연체 발생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90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8588
※ 컨소시엄 업체 : 투게더, 칵테일
1. 소개
투게더펀딩이라는 사명답게 "함께하는 금융의 동반자"라는 Vision을 가지고 있다.
2015년부터 P2P 사업을 시작한 시장 초기 업체이자 선도 업체 중 하나이다.
부동산 관련 상품만 취급하면서
단 한번의 연체 없이 연체율 0%를 유지해오면서
3500억원이 넘는 누적대출액을 달성한
P2P 업계의 전무후무할 업체라고 생각한다.
(참고로 급성장하며 쫓아온다는 데일리펀딩도 아직 누적 1800억이다)
2. 대출규모 및 연체
- 누적대출액 : 3505억원(350,484,000,000원)
- 대출잔액 : 1099억원(109,867,000,000원)
- 상환총액 : 2406억원(240,617,000,000원)
- 평균수익률 : 12.48%
- 상환율 : 68.65%
- 연체율 : 0%
연체율 등 지표의 공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알아보자.
3. 주요 지표의 공지
먼저 연체율 공지의 기준을 알아보자.
<P2P 대출 가이드라인>에 의거 매월 연체율에 관하여 정보 제공하게 되어 있으며,
전월말 기준으로 공시되고 매월 첫번째 영업일에 반영됨.
위 문구의 행간에 숨은 의미를 잘 파악해야한다.
아래는 첫번째 컨소시엄 연체 발생시 연체율 표시가 업데이트 되지 않아 문의하고 받은 답변이다.(3/15일)
* 관련글 : 블로그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85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7400
즉, 연체 발생후 다음달 월초 공지 전까지 최대 1개월의 시간동안 연체 공지를 늦출 수 있다.
여기서 반론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왜냐하면 <P2P 대출 가이드라인>에서 정한대로 따르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P2P 대출 가이드라인> 중 해당 부분을 살펴보자.
* 참고 : https://indonesia-oldman.tistory.com/23
-----------------------------------------------------------------------------------------
2. 연계 금융회사의 P2P 대출정보 중개업자에 대한 확인사항
(사업정보 제공) P2P대출의 구조, 상품 유형별(신용‧부동산담보‧부동산PF‧기타 등) 누적 대출금액‧대출잔액‧연체율(원금 또는 이자가 30일 이상 연체된 대출잔액을 총대출잔액으로 나눈 금액)‧연체건수(총대출건수 대비 비중 포함)·부실채권매각내역(매각대금, 부실채권금액, 매각처 등)은 월별로 게재*(전월말 기준)하고, 재무현황(P2P대출정보 중개업자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외부감사의 대상인 회사인 경우), 임직원수, 여신심사역수, 전문가(변호사, 회계사, 신용분석사 등) 보유 내역, 대주주 현황 정보는 사업연도별로 홈페이지에 게재
* 매월 15일 까지 전월 실적을 공시하되, 누적대출금액·대출잔액·연체율·연체건수·부실채권매각내역에 대해서는 과거 5년간 사업연도별로 구분하여 공시
-----------------------------------------------------------------------------------------
누적대출금액, 대출잔액, 연체율, 연체건수, 부실채권 매각내역을 월별로 공시하게 되어 있다.
(일단, 앞에서 이야기했던 문제점 또는 헛점 때문에 가이드라인이 변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투게더펀딩은 이를 지키고 있는 것일까.
https://www.together.co.kr/menu/?menu=company_data
위 링크를 직접 들어가보면, 정말 자세하게 잘 지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있게 보는 지표인
누적대출금액, 누적상환액, 연체율, 평균수익률, 대출잔액, 상환율 중
연체율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지표에 대해서는 일단위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
* 아래 그래프 참고
오직 연체율만이 <P2P 대출 가이드라인>을 지키고 있다.
왜? 나머지 5개 지표는
일단위로 증가하는 것이 업체 홍보에 유리하거나(누적대출금액, 누적상환액, 대출잔액, 상환율)
보여줘도 업체에 아무런 피해가 없기 때문이다(평균수익률)
6개 지표 중 오직 연체율만이
일단위로 반영할 때 업체에 피해가 있을 수도 있고,
현재의 가이드라인을 지킨다면 최대 1개월의 공시 지연시간을 벌 수도 있기 때문이다.
* 5개 지표의 일단위 변경 추이 확인 그래프
4. 투자이력
- 없음
5. 맺음말
...이러저러한 연유로,
4월 첫번째 영업일인 4월 1일에 공지되는 지표를 매우 기대하며 기다리고 있다.
과연 제대로 연체율이 표시가 될 것인가,
아니면 그 사이 NPL업체에 매각하여 연체율 0%를 유지하게 될 것인가,
연체율 0%를 유지한다면 연체발생일~NPL매각일까지 연체율이 잠시 상승했던 부분을 공시에 남겨줄까,
여튼,
<연체율 0%인 최대 규모의 P2P 업체>라는 타이틀을 달고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면,
위에서 지적하는 정도의 무게는 당연히 견딜 수 있으리라 믿고 있으며,
P2P 시장 선두업체로서의 투명하고 대인배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좋겠다.
* 피자모 : https://cafe.naver.com/pijamo/148832
'P2P 업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2P업체들의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이용법 및 비용 (0) | 2019.05.27 |
---|---|
P2P 업체 이야기 - 기존 소개 업체들의 연체율 변화 #2 (0) | 2019.05.24 |
P2P 업체 이야기 #10 -펀다 (0) | 2019.02.27 |
P2P 업체들의 원금 보호 장치(적립금 운용 업체) #2-펀다, 데일리, 비욘드 (0) | 2019.02.18 |
P2P 업체들의 원금 보호 장치(보험, 적립금) #1 (0) | 2019.02.16 |